인사이트

개인사업자 매각, 소득세 부담 줄이는 법인 전환의 필요성

2025년 01월 02일

Copyright ⓒ모멘스투자자문㈜. All rights reserved

개인사업자로 사업체를 운영하다 매각을 준비할 때 가장 큰 변수는 세금 부담입니다. 특히, 개인사업자는 매각 대금이 소득세로 간주되어 최대 45%에 달하는 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예상보다 훨씬 큰 세금으로 이어져 매각 후 남는 실질적인 금액을 크게 줄입니다.
반면, 법인 전환 후 매각을 진행하면 매각 대금이 주식 양도로 간주되어 주식 양도소득세율이 적용됩니다. 이를 통해 개인사업자로 매각할 때보다 훨씬 낮은 세율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개인사업자가 법인 전환을 통해 매각 시 얻을 수 있는 세금 혜택과 필요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개인사업자 매각 시 소득세의 구조

개인사업자가 사업체를 매각할 경우, 매각 대금은 개인의 소득으로 간주되어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소득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최대 4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소득세는 누진세율 구조로 되어 있어, 소득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세율누진세
1,400만원 이하6%과세표준의 6%
1,400만원 ~ 5,000만원15%840,000원
5,000만원 ~ 8,800만원24%6,240,000원
8,800만원 ~ 1.5억원35%15,360,000원
1.5억원 ~ 3억원38%37,060,000원
3억원 ~ 5억원40%94,060,000원
5억원 ~ 10억원42%174,060,000원
10억원 초과45%384,060,000원

법인 전환 후 매각 시 세금 절감 효과

법인 전환 후 매각할 경우 매각 대금은 주식 양도로 처리되며, 양도차익(양도가액 – 자본금)에 대해 주식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주식 양도소득세율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주식 양도에 따른 세율은 27.5%로 적용됩니다. 법인 매각 시 과세표준은 전체 매각 금액이 아닌 양도차익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예를들어 매각 금액이 10억원이고 자본금이 1억원이라면, 양도차익 9억원에 대해 27.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개인사업자 매각 시 법인 전환의 구조적 이점

개인사업자 매각 시 법인 전환은 단순히 세율을 낮추는 것외에도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 자산 분리의 명확성
    법인은 개인 자산과 법인 자산을 명확히 분리하여 매각 협상 시 법인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사업의 연속성
    법인으로 전환된 사업자는 독립적인 법적 주체로서 매각 이후에도 사업 운영이 개인사업자에 비해 용이하며, 이는 인수자에게 매력적으로 작용됩니다.

법인 전환은 매각 금액이 크고 소득세 과세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고려해야합니다. 모멘스투자자문은 개인사업자가 법인 전환을 통해 성공적으로 매각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자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모멘스와 M&A 과정을 함께 한다면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고 더 가치 있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목차

M&A 문의하기

많은 회사들이 모멘스를 통해 M&A 자문을 받았습니다.
모멘스를 통해 당신만의 M&A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보세요.

더 많은 인사이트 관련 글

M&A타이밍,M&A,모멘스투자자문,기업매각
인사이트

M&A 타이밍, 내 스타트업은 준비가 되었을까?

스타트업 창업자로서 회사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순간 중 하나는 M&A를 통해 지분을 매각할지 말지 고민하는 시점입니다. 단순히 “지금이 적기인가?”라는 질문을